메뉴

산업 정책

조태열 외교부 장관, 유엔 평화구축위원회(PBC) 발전 방향 제시

 

 

(블록핀)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우리나라의 6월 안보리 의장국 수임 활동의 일환으로 뉴욕을 방문한 계기에 6.21.(금) 오전 유엔 본부에서 감비아의 평화구축 경험을 주제로 개최된 평화구축위원회(PBC) 회의에 참석했다. 

 

조 장관은 주유엔대사 재직 당시 PBC 내에서 긴밀히 협력했던 마마두 탕가라(Mamadou Tangara) 주유엔 감비아대사와 7년만에 양국 외교장관 자격으로 PBC 회의장에서 재회했다. 이번 회의는 감비아의 평화구축 경험 및 PBC의 발전 방향에 관해 조 장관과 탕가라 감비아 외교장관 간 대담 형식의 브리핑으로 진행되었다. 2016.12월 대선 결과 22년만에 정권 교체를 이룬 감비아가 정치,경제적 안정, 평화적 전환을 위해 국제사회의 지원을 필요로 하던 상황에서 당시 PBC 의장으로서 조 장관이 감비아에 대한 PBC 차원의 지원을 성공적으로 조율한 경험은 유엔 내에서 PBC가 관여해 평화구축에 성공한 대표적 모범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탕가라 장관은 PBC가 조 장관의 리더십 아래 감비아 상황에 적기에 관여함으로써 인도적 재난을 방지하고, 감비아 국민들에게 미래에 대한 희망을 고취해 주었다면서, 특히 감비아의 안정화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고 평화적 전환을 위한 전략적 로드맵을 마련하는 데 있어 혁신적인 지원을 제공한바, 조 장관이 진정한 개척자(trailblazer) 역할을 수행했다고 평가했다. 

 

탕가라 장관은 조 장관과 같은 혁신적이고 헌신적인 의장이 PBC를 계속 이끌었다면, 최근 정세 불안이 나타나고 있는 일부 지역에서 분쟁이 재발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었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조 장관의 리더십에 찬사를 보냈고, 여타 참석국들도 이에 공감을 표시하며 PBC 의장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현재 PBC 의장을 수임 중인 세르지오 프란싸 다네세(Sérgio França Danese) 주유엔 브라질대사는 조 장관이 PBC의 가시성을 제고하고 국제금융기구와의 협력을 제도화하는 등 2017년 감비아 지원 과정에서 보여준 성과는 PBC 의장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과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의미 있는 선례라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이번 회의에서 개인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PBC에 다시 돌아오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고 하고, 우리나라 민주화 및 경제발전 과정에서 국제사회 지원의 중요성을 상기하며, PBC 의장으로서 감비아에 대한 유엔, 세계은행, 아프리카개발은행 등의 지원을 이끌어낸 배경과 과정을 설명했다. 

 

조 장관은 PBC 의장으로서 특히 세계은행 등 국제금융기구와의 협력을 공식화,제도화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하고, 평화구축은 막대한 재원이 소요되는 과정인 만큼 PBC가 전환기 국가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이 지속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PBC가 전환기 국가들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을 효과적으로 제고해왔지만, 현장에서의 지원 수요를 실질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노력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하고, 국제금융기구에 대한 정기적 방문, 잠재 공여국에 대한 관여 확대 등 필요성을 지적했다. 

 

조 장관은 민간부문의 잠재력을 감안하여 PBC와 민간부문의 협력 강화 필요성도 강조했다. 아울러, 빈곤,자원배분,기후변화 등 분쟁의 복합적인 원인 고려시 인도적 지원-개발-평화 연계(Humanitarian-Development- Peace Nexus)* 접근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고, 유엔에서 세 분야를 모두 다룰 수 있는 유일한 기관으로서 PBC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이번 회의에는 탕가라 감비아 외교장관 외에도 엘리자베스 스페하(Elizabeth Spehar) 유엔 평화구축지원 사무차장보, 65개 유엔 회원국 대표가 참석하여 2017년 감비아에 대한 PBC 지원의 중요성과 함의, PBC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는 가운데, 평화구축 분야에서 조 장관의 리더십과 유엔 평화구축 논의에 대한 우리나라의 지속적인 기여에 대해 평가했다. 

 

이번 회의는 유엔의 평화안보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위상과 역할을 더욱 강화하고, 안보리 이사국 수임 중점의제 중 하나인 평화구축 논의에 대한 우리나라의 기여 의지를 널리 보여주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헤드라인